-
눈 뜨고 나니 콜드체인 시대 2020년 가을 독감 백신 유통사고로 소환된 콜드체인은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유통으로 국내 바이오의약품 유통시스템으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 바이오의약품 신약 연구개발이 활성화되는 만큼 콜드체인없는 유통은 상상할 수 없는 시대가 됐다. 콜드체인을 들여다 본다.제1부 결이 다른 콜드체인의 현재와 미래제2부 갈 길 바쁜 의약품 콜드체인 1. 의약품 콜드체인이란?콜드체인은 온도에 민감한 의약품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유통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온도 제어 환경으로 제조·수입업체에서부터 의료기관
연관산업
히트뉴스
2021.08.25 06:32
-
코로나19 특수를 노린 마스크, 소독제 등 의약외품 제조업체 설립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집계한 의약관련 업허가 통계에 따르며 올 상반기에 498곳이 신규로 의약외품 제조업 허가를 받았다.이는 지난해의 1091곳에 비해 소폭 줄어 든 수치이지만 코로나19 발생전인 2019년 이전과 비교하면 폭발적인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연도별 의약외픔 제조업체 신규 허가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 17곳 △2013년 14곳 △2014년 21곳 △2015년 23곳 △2016년 34곳 △2017년 35곳 △2018년 4
연관산업
김용주 기자
2021.08.19 11:50
-
바이오제약 산업에서 스타트업의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성균관대학교 인재교육원이 바이오 스타트업 인재양성에 나섰다.성균관대학교 인재교육원, 성균관대학교 LINC 사업단,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제약·바이오 사업개발연구회는 11일 바이오 스타트업 성장·발전 등 제반 과정을 담은 '바이오벤처경영과정' 3기 첫 강의를 시작했다.8월 11일부터 11월 24일까지 매주 수요일 진행되는 이번 교육프로그램은 △스타트업 기업·기업가 특성 △기술·기업가치평가 △회계 및 재무관리 △바이오텍 투자 △법률적 이슈 △IPO 등으로 구성됐다. 산업
연관산업
김홍진 기자
2021.08.12 06:17
-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학장 한정환)은 대만 국립성공대학(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과 상호협력 및 공동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이번 MOU를 통해 양 기관은 8월부터 연구, 학술, 교육 영역에서 △교수진, 교직원 및 학생 교류 △공동 연구 수행 △간행물 및 정보 교류 △기타 연구 활동 등의 협력 활동을 진행한다. 대만 국립성공대학과 성균관대는 한국과 대만의 우수한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한 Common Data Model(CDM)의 적용과 다국가 공동연구 등 글로벌 협력연구
연관산업
이현주 기자
2021.08.11 19:01
-
글로벌 의약품도매업계에서 연구자들로부터 항상 벤치마킹(bench-marking)할 선망의 대상으로 꼽히고 있는 업체들 중, 미국에 'Big 3(McKesson, AmerisourceBergen, Cardinal Health)가 있다면, 일본에는 'Big 4'가 있다. ▷메디팔HD그룹(メディパルHD Group)과 ▷알프렛사HD그룹(アルフレッサHD Group) 및 ▷스즈켄그룹(スズケン Group) 그리고 ▷도호HD그룹(東邦HD Group)이 그들이다. 이들 중 스즈켄은 2016년6월18일부터 복산나이스의 2대 주주가 됐으며 경영에도 참
연관산업
류충열 유통전문기자
2021.07.26 06:32
-
헬스케어의 초점이 예방으로 쏠리면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건강관리가 운동량 측정, 식단 관리, 의료기관 예약 등에서 점차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만성질화 관리나 복약관리 등 질병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앱은 물론 최근에는 장내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식이·배변앱, 간호사를 통해 건강검진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앱들이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히트뉴스는 간단한 스마트폰 설치로 내 건강관리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앱 중 특정 마켓에서 높은 평점(플레이스토어 4.5점 이상/2021년 7월 16일 기준)을 유지하고 있는 앱들을 살펴보
연관산업
김홍진 기자
2021.07.17 06:30
-
2019년 11월말, 일본 의약품 도매유통업계의 월등한 톱4 큰손(大手)들인 '알프렛사', '메디세오', '스즈켄' 및 '도호약품(東邦藥品)' 등의 입찰 담합 행위가 발각됐다. 전국 각지에서 57곳의 병원을 운영하고 있는 '지역의료기능추진기구(地域醫療機能推進機構, JCHO)'가 실시한 2016년과 2018년 의약품 입찰에서다.당시 일본 의약업계는 발칵 뒤집혔다. 본진(本震) 못지않은 그 여진(餘震)은 금년 6월까지 지속됐다. 일본 공정거래위원회(公定取引委員會)는 2020년12월9일, 독점금지법 위반(부당한 거래제한, 不當な取引制限)
연관산업
류충열 유통전문기자
2021.07.12 06:31
-
분석 | 폭발지경 의약품 유통업계... 규모의 경제가 열쇠일까? 의약품 도매유통시장에 업체가 3108곳이나 밀집돼 있다. 매년 최하 200곳 이상씩 불어나는 추세다. 그 중 72.3%인 2247곳은 연간 매출액이 50억 원 미만인 소형 유통업체다(2020 완제의약품유통정보통계집, 심평원).이는 이미 여러 해 전에 예견된 일로, 이러한 현상의 해결책으로 이제까지 나온 몇몇 연구물을 보면 기본적 시각의 틀이 거의 비슷하게 △도매유통업체의 과다한 난립➜ △영세성과 비효율 초래➜ △규모의 경제 시스템 필요➜ △(미국·유럽·일본 등의 시장
연관산업
류충열 유통전문기자
2021.07.05 06:31
-
지난해 허가받은 의약외품 5개중 4개는 의약외품 마스크, 외용소독제 등 코로나19 방역용품인 것으로 집계됐다.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6월 28일 발간한 '2020년 의약외품 허가보고서'에서 지난해 의약외품 품목허가(신고 포함) 건수는 총 4881건으로 2019년 1370건 대비 256.3%(3511건) 늘어났다고 밝혔다. 특히 의약외품 마스크·외용소독제 등 코로나19 방역물품이 큰 폭으로 증가해 전체 4881건 중 4028건으로 82.5%를 차지했고 2019년 487건과 비교했을 때 727.1% 증가했다.식약처는 2020년
연관산업
김용주 기자
2021.06.28 09:40
-
최근 도매유통업계의 약국 및 의료기관(요양기관)에 대한 의약품 공급 비중이 90%대에 안착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89.6%에서 2019년 턱걸이로 90.1%에 올라서더니 2020년 90.8%로 자리를 잡았다. 그 대신 제약업계와 수입업계의 요양기관 직거래 비중은 2018년 10.4%에서 2020년 한자리수인 9.2%로 축소됐다.작년 도매유통업체들의 유통 비중을 요양기관별로 나누어 보면, 종합병원(100병상 이상)이 99.0%로 가장 높았고, 약국은 90.4%, 병원(30병상~99병상)은 89.4%, 그리고 의원(29병상 이
연관산업
류충열 유통전문기자
2021.06.25 06:29
-
휴온스(대표 엄기안)가 프로당구단을 출범하고 PBA(프로당구협회) 팀리그의 8번째 팀이 됐다.휴온스는 23일 성남 판교 본사에서 하비에르 팔라존(스페인, 33), 김봉철(41), 김기혁(38), 글렌 호프만(네덜란드, 31), 김세연(26), 오슬지(36) 등 총 6명의 선수로 구성된 프로당구단 '휴온스 헬스케어 레전드' 창단식을 갖고 출범을 선언했다.'휴온스 헬스케어 레전드'는 다음달 6일 열리는 2021-22시즌 PBA 팀리그 1라운드를 시작으로 첫 여정에 나선다.1지명으로 팀에 합류한 하비에르 팔라존은 당구월드컵에서 지난 20
포토
강승지 기자
2021.06.23 14:43
-
전국 의약품 도매업체가 3000개를 넘었다. 도매업체들간 치열한 경쟁과 이로 인한 의약품 유통질서 혼탁도 우려된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2020년말 기준 전국의 의약품 도매업체는 3170곳으로 집계됐다. 2019년 2919개에 비해 251곳이 늘어난 것이다. 의약품 도매업체는 2014년까지 2000개 내외였지만, 2015년부터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의약품 도매업체들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의약품 도매업체 창고면적 완화, 위탁도매업체의 경우 관리약사를 고용하지 않아도 되는 등 규제 완화 정책,
연관산업
김용주 기자
2021.06.23 12:10
-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에도 화장품 수출이 증가해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처음으로 7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0년 화장품 생산실적은 15조1618억으로 2019년의 16조2633억 대비 6.8% 감소했다고 21일 밝혔다. 2020년 수출 규모는 8조2877억(75억7,210만 달러)으로 2019년 7조6086억 대비 16.1%(달러 기준) 성장하면서 프랑스(1위)·미국(2위)에 이어 세계 3위를 기록했습니다. 2020년 화장품 생산실적으로 코로나19 유행에 따라 유형별로 엇갈렸다. 손세정
연관산업
김용주 기자
2021.06.21 09:38
-
1952년 부산에서 설립된 의약품 유통업체 복산나이스가 지난해 매출 1조를 돌파했다. 기존에 의약품 유통업계에서 매출 1조를 돌파한 업체는 지오영, 백제약품, 동원약품, 태전약품 4곳이었다.지난해 8월 공동대표로 임명돼 부친인 2세 경영인인 엄태응 회장과 복산나이스를 경영하고 있는 엄승욱 부회장. 3세 경영인이라는 무거운 책임감 속에 경쟁이 치열한 의약품 유통업계에서 살아남고 회사를 발전시키기 위해 분주한 엄승욱 부회장을 최근 히트뉴스가 만났다.복산나이스 기업문화의 특징이 있을까요?"복산나이스의 기업문화를 명확히 규정할 수는 없지만
연관산업
김용주 기자
2021.06.17 06:28
-
유럽계 글로벌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인 가이아 (Gaea)가 이달 1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임상시험을 관리하는 가이아 에이펙 (Gaea APAC)본부를 서울에 설립하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 본부장에 김준형 박사를 선임했다고 밝혔다.Gaea는 1994년 영국에서 설립한 이래 27년간 다국적 제약사들의 항암제, 희귀질환 및 고난이도의 운영노하우가 필요한 중환자실에서 치료제 개발의 Rescue CRO로 입지를 다져왔다.Gaea는 "한국은 COVID-19로 인한 글로벌 팬데믹 상황에서 기존 임상시험 등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고 개방형
연관산업
조광연 기자
2021.06.14 12:36
-
의약품 등의 GMP 및 QbD 전문 컨설팅 기업 ㈜비앤피케어(대표 김태규)는 정재호 전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 관리과장을 전무이사를 영입했다고 11일 밝혔다.회사 측에 따르면, 신임 정재호 전무는 조선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했으며, 중앙대학교에서 산업약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약무 공무원으로 1995년 부터 2021년까지 바이오의약품/의약품 GMP 관리 업무 15년, 의료기기 GMP 업무 3년 등의 업무 경력이 있다.정 전무는 앞으로 의약품 및 의료기기 등의 GMP 교육 및 컨설팅지원 총괄, GMP 신축 시 개념설계 및 위험평가, 품
연관산업
조광연 기자
2021.06.11 17:09
-
전국 약국에 아세트아미노펜 제제 약 5000만 정이 다음 주 정도면 공급될 예정이다. 생산업체가 현재 보유 중인 재고를 신속히 출고하고, 생산량을 최대한 확대하기로 한 데 따른 조치다.타이레놀 등 아세트아미노펜 제제의 수요가 급증해 일부 약국에서 품귀 현상이 발생하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대한약사회(회장 김대업),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 한국의약품유통협회(회장 조선혜)가 생산량 확대와 원활한 공급을 위해 협력하게 됐다고 11일 밝혔다.식약처와 관련 단체들은 아세트아미노펜 제제의 현 재고량으로 품귀 현상을 충분히
연관산업
강승지 기자
2021.06.11 16:30
-
정부는 2020년 8월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개정인 이른 바 '데이터 3법' 개정을 시행했고, 이어 9월 보건복지부는 '의료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가명처리 가이드라인'을 배포하며 가명데이터 가공 과정 및 사용 방안 등을 제시했었다.그러나 의료 데이터의 디지털화 임박으로 떠들석 했던 당시와 달리 현재 의료데이터는 가명처리, 가명데이터 활용 기준, 데이터 사용 동의 등 명확하지 못한 정의와 기준으로 좀처럼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코엑스에서 진행되는 'BIO KORA 2021' 첫날 '의료
연관산업
김홍진 기자
2021.06.10 06:32
-
한국 전체 가구의 29.7%인 604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확인(KB금융그룹 2021년도 보고서 기준)되고 있는 가운데, 식품위주의 반려동물 관련 시장이 '펫테크'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다.반려동물(Pet)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펫테크(Pet-tech)는 자동 급식·급수기와 CCTV, 자동 장난감 등에서 최근 소변검사키트, 전문 관리사 매칭 애플리케이션, 단기보험 상품 등 헬스케어 분야로 영역을 넓혀가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히트뉴스는 반려동물 시장에서 출시되고있는 헬스케어 관련 아이템들을 살펴보고 펫
연관산업
김홍진 기자
2021.06.08 06:29
-
지난 30일부터 전자어음의 만기가 발행일에서 3개월을 초과할 수 없도록 단축·의무화됐다(전자어음법제6조제5항 및 관련부칙). 2018년5월29일 이전에는 1년이었지만, 그로부터 2019년5월29일까지는 6개월, 2020년5월29일까지 5개월 그리고 2021년5월29일까지 4개월이었다. 이처럼 전자어음의 만기는 1년→6개월→5개월→4개월→3개월로, 갈수록 짧게 진화돼 왔다.그 이유는 전자어음의 만기가 장기화됨에 따라 어음 수취인의 자금경색, 연쇄부도 위험 등 기업 활동에 어려움이 가중되는 점을 개선하고 자금 순환을 빠르게 함으로써 경
연관산업
류충열 유통전문기자
2021.06.08 06:28